가족이 비대면진료 받는 방법 : 닥터나우 앱 활용법

👩‍⚕️ 1. 기본 원칙

비대면 진료는 「의료법」상 진료받는本人 확인이 중요하기 때문에,
가족이 대신 본인 계정으로 진료받는 것은 불법입니다.

따라서 가족이 진료를 받으려면 반드시
👉 가족 명의로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을 해야 합니다.

📱 2. 가족이 비대면진료 받는 절차 (닥터나우 기준)

✅ ① 가족 명의로 계정 생성

  • 가족의 휴대폰 번호와 이름,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로 가입합니다.
  • 본인 인증은 카카오·PASS·네이버 인증서 등으로 가능합니다.
  • 만약 가족이 고령자나 미성년자라면 아래 절차로 넘어갑니다.

✅ ② 본인 인증이 어려운 경우 (예: 부모님, 미성년자)

🔹 방법 1. 보호자 대리 진료 지원

닥터나우에서는 일부 병원에서 “보호자 대리진료” 기능을 제공합니다.

  • 앱 하단의 병원찾기 → 비대면진료 → 보호자 진료 가능 필터를 켜세요.
  • ‘보호자 진료 가능’ 표시가 있는 병원을 선택하면,
    보호자가 대신 진료 예약 및 상담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진료 시 보호자 신분증 및 가족관계 증빙(예: 가족관계증명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방법 2. 고령자 휴대폰 대신 사용

부모님 명의 휴대폰이 없을 경우,

  • 보호자가 부모님 명의의 인증서(공동인증서) 로 닥터나우에 로그인하여 이용 가능합니다.
  • 단, 명의자가 명시적으로 동의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 3. 처방전 및 약 수령 절차

비대면 진료 후 처방전은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구분방법
전자처방전약국으로 바로 전송되어, 약 배달 서비스로 수령 가능
보호자 대리 수령가족관계 증명서·신분증 지참 후 약국에서 수령 가능
배달약국 이용 시보호자 명의로 수령 가능 (수령자 정보 정확히 입력 필수)

💡 실무 팁

  • 앱 내 고객센터 → 가족 진료 문의로 문의하면,
    담당자가 가족 진료 가능 병원 목록을 직접 안내해줍니다.
  • 닥터나우 외에도 비브로스(비대면진료), 굿닥, 올닥터 등 앱들도
    보호자 대리진료 기능을 점차 확대 중입니다.

⚖️ 정리 요약

구분가능 여부방법
본인 진료✅ 가능본인 명의 가입
가족 진료 (동일 명의 계정)❌ 불가의료법 위반 가능성
가족 진료 (대리 기능 지원 병원)✅ 가능보호자 진료 가능 병원 선택
미성년자 진료✅ 가능보호자 인증 및 동의 필요

❓자주 묻는 질문

Q1. 부모님이 휴대폰 인증을 못 하세요. 대신 로그인해서 진료 예약해도 되나요?
👉 네, 부모님 명의의 인증서로 로그인하면 가능합니다. 다만 본인 동의가 필수입니다.

Q2. 닥터나우에서 ‘보호자 진료 가능 병원’을 꼭 골라야 하나요?
👉 그렇습니다. 일반 병원은 법적으로 환자 본인만 진료 가능합니다.

Q3. 가족이 처방받은 약을 제가 대신 받아도 되나요?
👉 네,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를 약국에 제시하면 대리수령이 가능합니다.


댓글 남기기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