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모아주택·모아타운은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 노후 주거지를 소규모 필지를 모아 공동 개발하는 혁신적 주택정비 모델입니다. 최근에는 사업 속도와 경제성 강화를 위한 정책들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모아주택·모아타운 정책의 핵심 개념부터 추진 현황, 2025년 최신 정책 동향, 그리고 장단점까지 모든 것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의 주택 정책에 관심이 있거나, 실제 거주하는 지역에 해당 정책이 적용될지 궁금하다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 정책 배경과 개요
서울 저층 주거지는 전체 주거지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나, 80% 이상이 재개발이 어렵습니다. 좁은 골목, 주차난, 화재 위험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아주택(소규모 필지 연계 개발)과 모아타운(블록 단위 체계적 정비) 전략이 도입되었습니다.
- 모아주택: 개별 필지를 소유한 2명 이상의 주민이 모여 주택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인접한 다가구·다세대 주택 소유자들이 함께 사업을 추진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모아타운: 모아주택 사업이 10만㎡ 이내의 블록 단위로 집단 추진되는 지역을 말합니다. 서울시가 모아타운으로 지정하여 체계적인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공공 기반시설을 지원하는 등 사업 효율성을 높입니다.
✅ 최근 주요 동향 (2025년 기준)
2025년 8월 19일, 서울시는 ‘모아주택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주민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컨대 12개 모아타운 대상지에 보정계수 1.5를 적용한 결과, 주민 평균 분담금이 약 7,000만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기반시설이 우수한 간선도로변·역세권 등지에는 준주거지역으로 상향, 이를 통해 모아주택 7,000호 추가 공급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금융지원 강화: 초기 운영비·용역비 최대 20억 원까지 서울시 직접 융자, 공사비는 기존보다 0.6% 낮은 금리로 융자 예정(내년 출시).
- 행정 절차 혁신: 모아타운 관리계획과 모아주택 건축계획을 병행 수립해 계획 수립 기간을 최대 1년 단축. 시·자치구의 지원으로 추가로 최대 1년 단축 가능—총 사업 기간 2년 축소 목표.
✅ 사업 속도와 규모
- 모아타운 관리계획 승인은 2025년 5월 말 기준 111곳 후보지, 이 중 관리계획 승인 49곳. 목표는 2025년 말까지 80곳, 2026년 6월까지 100곳 승인.
- 모아주택은 2026년 6월까지 3만 호 조합설립 인가 완료 목표, 현재까지 33,182세대(162곳) 인가 완료해 목표 조기 달성.
서울시 모아주택·모아타운 주요 추진 현황
항목 | 2025년 현재 상황 | 2025년 목표 |
---|---|---|
모아타운 관리계획 승인 건수 | 현재 49곳 승인 | 2025년 말까지 80곳, 2026년 6월까지 100곳 승인 |
모아주택 조합설립 인가 세대수 | 현재 33,182세대 (162곳) | 2026년 6월까지 30,000세대 목표 |
사업성 보정계수 효과 | 적용 시 주민 평균 분담금 약 7,000만 원 감소 | 모든 대상지 적용 확대 추진 |
행정 절차 간소화 | 관리계획·건축계획 병행 수립 가능해짐 | 사업 기간 최대 2년 단축 목표 |
금융 및 융자 지원 | 초기 운영비·용역비 최대 20억 원 융자 지원, 공사비는 저금리 | 융자상품 내년 중 출시 예정 |
✅ 추진 사례와 2025년 최신 동향 (2025년 8월 기준)
모아주택·모아타운 정책은 서울 곳곳에서 활발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기관이 참여하여 사업을 지원하는 곳도 많습니다.
👉 주요 추진 사례
- 면목동, 화곡동, 동작구 상도동: 실제 모아주택 사업이 착수되었거나 모아타운으로 승인되어 사업이 진행 중입니다.
- 강북구 번동: 모아타운 1호 사업지로, 2025년까지 1,262세대의 주택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모아주택과 재개발·재건축은 어떻게 다른가요?
A1: 재개발·재건축은 대규모 주택을 철거하고 아파트를 짓는 방식인 반면, 모아주택은 기존 필지를 모아 소규모로 공동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절차와 규모 면에서 큰 차이가 있어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추진할 수 있습니다.
Q2: 정비사업 아카데미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2: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에서 ‘정비사업 아카데미’를 검색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11월까지 순회 교육이 진행되니 관심 있는 분은 꼭 참여해보세요.